|
|

 |
한의원소개 > 언론속의약침한의원 |
|
|
|
|
 |
|
[국민일보 기획연재-쿠키 건강칼럼] [탈모 동의보감] 피가 모자라 발생하는 탈모에는 숙지황을! |
 |
 |
2011-01-21
|
 |
 |
 |
6,995 |
|
|
 |
업데이트 : 2011-01-19 08:05:01 |
[탈모 동의보감] 피가 모자라 발생하는 탈모에는 숙지황을! | |
글·강대희 원장(구리시 약침한의원)
[쿠키 건강칼럼] 20대 여성 A씨는 혈허(血虛 ; 혈액이 부족함)증상이 있어 앉았다 일어날 때 자주 어지럽고 추위를 많이 탔다. 또 손발이 차갑고 가끔 손 저림 증상도 나타났다.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마음이 불안하거나 초조하고 불면증이 있으며 깊은 잠을 이루지 못했다. 위염이 있어 식욕이 부진해 하루 한 끼나 두 끼밖에 식사를 못했으며 소화불량이 있고 일주일에 3~4회 구토증상이 나타났다.
3년 전부터는 어깨결림이 있고 주 2~3회 편두통이 나타났으며 얼굴이 창백하며 오후가 되면 눈이 많이 피로했다. 월경이 늦어지고 생리량이 적으며 아랫배와 허리에 생리통이 있고 냉이 있었다.
A씨는 중학교 1학년때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았고 햄버거나 라면 등 인스턴트식품을 자주 먹으면서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기 시작했다. 8년이 지나자 머리는 점점 더 가늘어지고 머리 감을 때와 말릴 때 탈모량이 늘어나 하루 100개 이상 지속적으로 빠지곤 했다.
그러다 보니 앞머리 두피가 훤히 비치게 됐다. 탈모가 심해진 후에는 버스나 지하철에서 의자에 앉는 것이 부담스럽고 사람 만나는 것이 싫어졌으며 우울증이 생겼다.
동의보감에서는 모발의 원료는 혈액이며 두피로의 혈액순환이 원활하면 모발이 윤기 있고 굵지만 혈액순환이 안되면 모발이 거칠어지고 가늘어지면서 탈모가 나타난다고 했다.
혈액은 비위가 음식물에서 흡수한 정미물질(精微物質)이 영기(營氣)와 폐의 작용을 통해 붉은 액체로 변한 것이다.
혈액의 생리기능은 첫째, 전신에 영양을 공급하는데 두피, 모발, 근육, 뼈, 경락, 장부 등의 모든 조직기관은 모두 혈액에 의해 영양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혈액이 부족하면 피부와 모발이 건조하며 얼굴이 창백해지고 근육과 장부가 허약해진다.
둘째, 유기체의 운동과 감각기능은 혈액의 영양을 필요로 한다. 혈액이 충분하면 감각기능과 운동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뤄진다. 반면 부족하면 현기증이 나고 시야가 흐려지며 이명이 생기고 사지가 마비된다.
셋째, 혈액은 정신활동에 필요한 물질적 기초다. 혈액이 충만하면 정신활동이 왕성해지고 명석해지며 감각이 예민해지고 활동이 자연스러워진다. 혈허의 경우 정신쇠퇴, 건망증, 불면, 정신혼미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혈허의 원인으로는 먼저 월경(월경출혈의 양은 대개 20~70㏄정도이고 평균 50㏄이다), 칼이나 사고에 의한 출혈, 출산 후 출혈 등 과다하게 피를 흘린후 새로운 혈액이 보충되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 비위가 허약해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해 혈액생성기능이 감퇴된 경우다. 이와 함께 오랜 질병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혈액이 손상되고 혈액이 소모되는 경우다.
여성은 한 달에 한 번 반복적으로 월경을 하고 출산 후에 혈허한 상태가 되기 쉬우며 식사량을 무리하게 줄이면서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에도 혈허로 인한 탈모가 생기기 쉽다.
피가 부족하면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가 나타나며 얼굴에 화색이 없어 창백해지고 어지럽다. 또 눈이 피로하고 손발이 저리면서 손발톱이 창백해진다. 가슴이 두근거리며 건망증과 불면증이 생기면서 두통이 생기고 맥이 가늘고 무력하다. 여성의 경우 월경이 늦춰지고 월경량이 감소되며 심하면 무월경이 된다.
혈허로 인한 탈모를 치료하는 한약은 숙지황(熟地黃)이다. 숙지황은 간장과 신장을 건강하게 하며 혈액을 보충하는 효능이 있어 모발이 가늘어진 경우나 탈모를 치료한다.
동의보감에 숙지황은 성질이 따뜻하며 단맛과 쓴맛을 갖는다고 기록돼 있다. 숙지황은 혈허를 보충하며 모발을 검게 하고 골수를 메우며 근육을 건강하게 한다. 또 뼈를 튼튼하게 하며 허약한 것을 보충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기력을 증강시키고 귀와 눈을 건강하게 한다고 했다.
A씨의 경우 하수오, 복분자, 상심자, 한련초 등 탈모를 치료하고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는 한약과 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 등 혈허를 치료하는 한약을 복용했다. 두피를 치료하는 약침을 12회 시술하자 새로운 모발이 올라오기 시작하고 모발이 굵어지기 시작했다.
이후 추가치료로 어지럼증과 손 저림 증상, 소화불량이 치료됐으며 앞머리 부위에 모발이 채워져 두피가 가려지면서 우울했던 마음도 많이 회복됐다.
혈허로 인한 탈모를 치료하는 데는 규칙적으로 균형 잡힌 음식섭취를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탈모에 좋은 음식인 검은콩, 검은깨, 두부, 달걀, 쇠고기, 생선, 김, 우유, 미역, 다시마, 시금치, 땅콩, 호두 등을 꾸준히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물 1리터에 숙지황 10g을 넣고 30분 정도 끓여 숙지황차를 마시면 혈허에 도움이 된다. 당귀도 혈액을 보충하는 한약인데 피를 활성화하고 맑게 하는 효능이 있다. 물 1리터에 당귀 10g을 넣고 30분 정도 끓여 당귀차를 만들어 먹어도 좋다. 당귀차는 특히 혈허로 인해 자주 어지러우면서 손발이 차고 저리며 얼굴색이 창백하고 추위를 많이 타는 여성에게 더욱 좋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