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리부위 지루성탈모의 한방치…
지루성탈모를 치료하는 소염약침
지루성탈모의 한방치료
지루성탈모에 해로운 음식과 음…
 



한의원소개 > 원장컬럼
상열감(上熱感)으로 인한 탈모에 도움이 되는 한약과 음식
2010-12-05
24,348
 

30대 남성 A씨는 본래 더위를 많이 타며 상열감(上熱感 머리나 얼굴 상체에 열이 있는 증상)이 있어 긴장하거나 갑자기 더운 공간에 들어가면 얼굴과 머리 쪽으로 열이 화끈거리며 잘 달아올랐다. 조금만 운동하거나 매운 음식을 먹으면 머리와 뒷목 쪽으로 땀이 많이 흘린다. 입이 잘 마르고 갈증을 많이 느끼며 찬 물이나 얼음물을 즐겨 마신다. 사무직으로 컴퓨터를 많이 하다보니 뒷목이 자주 뻣뻣하고 눈이 잘 충혈되며 두통이 자주 나타났다. 소화불량이 있고 대변은 하루에 3~4회 보며 대변이 무르고 설사를 자주 하였다. 4년 전부터 정수리와 앞머리가 가늘어지더니 직장에서 업무상 스트레스와 잦은 야근으로 인한 수면부족이 겹치면서 피로감이 심해지게 되었다. 그러면서 정수리부위는 빨갛게 되고 두피는 가렵고 모발이 더욱 가늘어지더니 탈모양이 하루 150~200개가 되면서 두피가 비치게 되니 나이들어 보이고 마음이 위축되게 되었다.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탈모가 있는 분 중에서 상열감이 원인이 된 경우가 많다. 자연에서 화(火)는 만물을 따뜻하게 하고 양육하는 작용을 하고 있는 반면, 또한 만물을 태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인체내의 화 역시 신체를 따뜻하게 하고 몸을 잘 자라게 하기도 하지만 인체의 진액을 말려버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화의 성질 및 화로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는 불의 속성과 양(陽)의 기운을 가져 타오르면서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병이 생기면 머리와 얼굴, 가슴, 목, 눈, 코, 귀, 입 등 인체의 윗부분에 주로 증상이 나타난다. 고열, 갈증, 머리나 뒷목 쪽으로 땀을 많이 흘리며, 입과 혀가 잘 헐고, 잇몸이 부으며, 배고픔을 빨리 느끼고, 두통, 눈의 충혈이 나타난다.

둘째, 화는 인체의 진액을 소모하여 건조하게 하는 작용을 하여 피부가 마르고 몸이 가려워지면서 입이 마르므로 찬 물을 찾게 되고, 눈과 코가 까칠까칠하며 변비가 생긴다. 화는 또한 두피의 진액과 혈액을 마르게 하여 두피의 혈류량이 감소되어 모발의 영양분이 부족해지므로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의 원인이 된다.

셋째, 화는 출혈증상을 일으킨다. 혈액이 열을 얻으면 운행하는데 화가 인체를 손상시키면 혈류를 더욱 빠르게 하여 심하면 토혈, 코피, 변혈, 여성 월경과다 등과 같은 각종 출혈증상을 일으킨다.

넷째, 화는 인체의 오장 중 심장과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마음을 평안하지 않고 요란하게 하여 불안하거나 우울, 분노의 폭발을 일으켜서 신경성질환이나 심지어 정신질환을 일으킨다.

상열감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한약은 황금(黃芩)이다. 황금은 꿀풀과 황금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쓰다. 폐, 쓸개, 위, 대장의 경락에 작용한다. 열을 떨어뜨리며 지혈하는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열독(熱毒), 한열왕래(寒熱往來), 열갈(熱渴), 황달, 설사, 위열(胃熱), 유옹(乳癰), 악창(惡瘡)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열감을 치료하는 한약은 황금 이외에 시호(柴胡), 치자(梔子), 황련(黃連) 등이 있다. 상열감을 치료하는 경혈에는 양보, 족삼리, 대추 등의 경혈이 있다.

차가운 성질이 있어 상열감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음식은 죽엽차( 대나무 잎 20g을 물 1L에 넣고 달여서 차처럼 마신다. ), 무, 알로에( 간의 화기를 제거한다. ), 냉면, 참외, 수박, 보리밥, 오징어, 밀, 오이, 메밀국수, 녹차 등이 있다. 그런데 성질이 차가운 성질의 음식을 장기간 복용하면 위와 대장에 손상을 주고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상열감이 있으면 고추, 후추, 겨자 등 매운 음식이나 인삼, 생강, 닭고기, 홍삼차, 대추차 등 열이 많은 음식을 피하여야 한다. 아울러 지나친 과음은 간장의 열을 상승시키고, 지나친 흡연은 폐의 열을 상승시켜 탈모를 악화시키므로 술과 담배를 않하는 것이 좋다.

A씨의 경우 하수오, 복분자, 상심자, 한련초 등 탈모를 치료하는 한약과 황금, 시호, 황련 등 상열감을 치료하는 한약을 복용하면서 두피를 치료하는 약침을 16회 시술하였을 때 모발이 올라오고 탈모양이 많이 감소되었다. 약침을 24회 시술하였을 때 모발이 2㎝정도 자라 모발이 검게 되고 대변이 하루에 2회로 감소되었다. 이후 추가치료로 모발이 굵어져 힘이 들어가고 두피가 가려지고 머리부위로 땀나는 증상이 많이 호전되었다.

동의보감에서는 정신이 고요하면 심장의 화가 저절로 내려간다고 하였다. 그래서 마음을 바르게 가다듬고 마음을 수양하는 것이 상열감을 예방한다고 하였다. 감정은 인체내의 기의 변화를 일으킨다. 화가나면 기가 위로 올라가고, 생각을 많이 하면 기가 모이고, 슬퍼하면 기가 소모되고, 무서우면 기가 내려가고, 놀라면 기가 어지러워 진다. 그러나 기쁘면 긴장된 정서를 완화시키고, 심정을 편안하게 하며 기혈을 조화롭게 하여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므로 기쁜 마음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공은 마음과 호흡을 조절하며 자세를 조절하여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유지하게 한다. 기공호흡법은 먼저 자연호흡법을 익히고 점차 길고 깊은 호흡으로 바꾸는데, 호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깊고, 길고, 고르고, 가늘게 하는 것이다. 깊게 하는 것은 심호흡으로 기를 단전까지 이르게 하는 것이다. 길게 하는 것은 한 번 숨을 쉴 때마다 드는 시간을 늘려 가는 것이다. 고르게 하는 것은 매번 일정한 세기로 하는 것이다. 가늘게 하는 것은 호흡을 거칠지 않게 하는 것으로 위의 네가지는 상호보완적이므로 이를 지켜 올바르게 호흡하면 스트레스가 닥칠 때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므로 기공은 신체와 정신을 단련하는 좋은 양생법으로 적극 권장한다.


다이어트로 인한 혈액부족, 그리고 원형탈모 
  과음으로 인한 남성탈모에 갈근(葛根 칡뿌리)이 효과적